1부 ‘급한 불 끄기 바쁜 프로덕트의 문제점’에서는 프로덕트 조직에서 나타나는 위험 신호에 대해 이야기하며, 주로 문제점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과 전술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모든 회사에는 사람들이 처리할 수 있는 시간보다 더 많은 문제가 존재합니다. 작은 문제를 간과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최선의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악의 경우, 계속해서 긴급한 문제에만 대처하느라 운영에 필요한 자원이 고갈되고 맙니다.…
2024년 이커머스는 데이터와 AI가 활발히 활용된 한 해였다. 이번 글에서는 이커머스의 AI 활용 사례와 2025년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스닙팟은 #해시태그로 인기 콘텐츠가 모이고 끌올 ⏫ 되는 주제 탐색형 서비스 입니다. 클릭해서 스닙팟에 대해 더 알아보세요.
기우제를 지내면 비가 내립니다. 왜 그럴까요? 비가 내릴 때까지 지내기 때문이지요. 아무 때나 신전에 가서 기우제를 지내자고 하면, 그들은 어떻게 대답할까요? “아직은 때가 아니다. 하늘이 허락하는 때를 기다려야 한다” 신탁이란 그래서 아무렇게나…
내가 요즘IT에 연재 글을 올린 지도 거의 4년이 되어간다. 2021년 3월부터 시작해 한 달에 최소 한 편, 많을 때는 4편 이상 연재하며 글을 차곡차곡 쌓아왔다. 평소 관심이 많은 프로덕트 관련 글을 주로 썼고, 기획이나 비즈니스 내용도 다뤘…
‘슬로건’이라는 단어가 어디서 유래되었는지 아시나요? 슬로건이라는 말은 유럽의 켈트족이 주로 사용하던 언어인 게일어에서 유래된 단어인데요. 과거 스코틀랜드 지역의 군대가 전쟁에서 자신들의 힘을 드러내기 위해 외치던 ‘Sluagh-ghairm(슬로…
이커머스가 선보이는 ‘딜’은 고객 유입과 매출 증가에 중요한 전략으로 활용된다. 대신 신뢰를 줄 수 있는 상품을 좋은 가격과 혜택으로 소개해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불황 소비에 걸맞는 이커머스 딜 큐레이션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제공…
이번 글은 PM이 성장하는 지점에 대해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역설적으로 접근하려고 합니다. “우리가 어떤 상황에 놓여 있다면 성장 지점에 도달하지 못하는가, 왜 PM으로서 성장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해 얘기해 보기로 합시다. 누군가…
프로덕트 매니저(이하 PM)가 ‘로드맵’이라는 단어보다 더 자주 쓰는 말이 있다면, 아마도 ‘가치’일 것입니다. 예를 들어, 고객 가치, 비즈니스 가치, 가치 제안, 가치 흐름, 가치 창출 등이 있죠. 하지만 많은 PM들이 자신이 회사에 제공할…
기획자의 모든 업무는 해결할 문제를 배경으로 시작하게 된다. 명확한 문제가 있어야 해결이라는 목표가 성립되며, 방향성을 더 견고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현업에서 안타깝게도 명확한 문제가 배경이 아닌 상태로 기획이 시작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혹시 여러분이 하는 일 중 가장 즐겁고 재미있는 일을 하나 꼽으라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저에겐 ‘네이밍’이라는 영역이 그렇습니다. 사실 네이밍은 브랜딩을 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기피하는 업무이기도 합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이름을 정한다는 건 앞으…
태블로(Tableau)는 데이터를 연동해 지표를 시각화하여 분석하는 툴이다. 특히 이커머스에서 태블로를 활용하면, RFM(Recency, Frequency, Monetary), 최근 구매 시기, 구매 빈도, 총구매 금액을 기반으로 분석하거나, 코…
저는 지금의 시대가 애매한 브랜딩이 살아남을 수 없는 시대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과거에는 어느 정도 구색만 맞춰도 사람들의 환심을 살 수 있는 문법이 통하는 시대였다면, 지금은 타깃이 되는 소비자의 마음을 완벽하게 빼앗지 않고는 브랜딩의 효과를…
모든 서비스에는 목표가 존재합니다. 특히 비즈니스와 연결된 서비스의 경우, 대부분 상품 등을 결제하는 행위가 목표인 경우가 많죠. 그런 만큼 기획자로서 성공적인 서비스를 설계할 때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사용자가 원활하게 결제할 수 있는 환…
최근 몇 년간 UX 리서치 분야에서 인공지능(AI)의 도입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AI를 연구에 활용될 때 단순히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번거로운 업무를 줄여주는 역할에 그칠 것이라 예상했지만, 오늘날의 AI는 연구를 계획하고…
최근에 한 언론에서 ‘뺑뺑이 AI콜센터’라는 기획 기사를 본 적이 있습니다. 고객센터에 전화하면 인내심의 한계에 도달할 때쯤 상담사와 연결되거나, 기다림에 지쳐 챗봇에 물어봤자 이내 엉뚱한 답변이 돌아온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은행이나 카드 앱에서…
이제 이커머스에서도 숏폼이 강세다. 짧고 강렬한 콘텐츠 소비 패턴을 적용해 고객의 관심을 끄는 사례가 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CJ온스타일의 ‘쇼츠’, ‘SSG TV’, 11번가 ‘플레이’, GS샵 ‘숏픽’ 등이 있다. ‘시성비(시간 대비 성…
추석을 맞아 요즘IT가 글 모음 선물을 준비했습니다. 이번 주제는 “기획자가 알아야 할 기획 용어와 개념 모음”입니다. 기획자는 프로젝트의 방향을 정하고 팀을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이러한 역할을 잘해내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용어와…
7년 차 PM이 알려주는 취업 뽀개기: 이직 편 (1)에서는 이직 이유를 파악하고, 목표를 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명확한 이직 이유와 커리어 방향성을 찾았다면, 이번 글에서는 성공적인 이직을 위한 본격적인 실전 팁을 살펴보고자…
이직은 준비하는 과정도, 또다시 새로운 회사에 적응하는 과정도 에너지가 굉장히 많이 소모되는 일이다. 이직을 어디로 했는지에 따라 하루하루가 완전히 달라진다는 점에서도 삶에 많은 영향을 주는 선택이다. 그렇기에 더욱 신중하게 고민해야 만족스러운…
스닙팟은 #해시태그로 인기 콘텐츠가 모이고 끌올 ⏫ 되는 주제 탐색형 서비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