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인공지능 트렌드에 대한 이야기. 저는 꽤 오래전 (심지어 딥러닝이 뜨기도 전) 에 기계학습을 연구했었고 챗GPT 가 뜨는 지금에 와서는 스스로 기술 트렌드에 많이 뒤쳐지고 있다고 느끼고 있는데요. 그래도 10여년간 인공지능 분야의 기술적인 빅스텝을 볼 때마다, 아직은 Andrew Ag 교수 코세라 기초 수업 배운게 쓸모가 있지.... 그게 그래도 기본이지.. 싶었는데.. 최근 몇달 사이에 갑자기 이런 제 생각은 기술 꼰대가 되는 시대가 되어 있네요.. 올해부터 확실히 인공지능 분야가 연구 이론 중심 분야와 분리가 시작된듯 합니다. 사실 많은 분야가 본격적으로 산업화가 되면 이런 일이 일어나는데, 근 10여년 인공지능 기술 발달 과정은 알고리즘, 이론을 베이스로 이론 분야와 산업이 분리되지 않고 발전했는데요. 이제 빅테크, OpenAI 등이 잘 하고 있는 파운데이션 모델 등이 확고히 지지기반을 다지고 있고 또 그 위에 이를 추상화해서 LLM 인공지능 App 을 쉽게 만들 수 있는 환경이 너무 잘 구성되면서 분위기가 확실히 바뀐 듯. 대표적으로 LangChain 과 같은 프레임워크와 Vector DB 등등 과거에는 머신러닝을 돕는 툴이 발전했다면 이제는 실제 서비스로 구현하기에 편한 도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어서 말이죠. 그래서 과거 데이터를 직접 넣고, 모델을 만들고 하는 것을 머신러닝 엔지니어 작업으로 이야기하고, 새롭게 LLM (ChatGPT 등) 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인공지능 서비스를 만드는 것을 인공지능 엔지니어 라고 명명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이제 완전히 실용적인 요소 (프롬프트 체인 관리 vector 처리 등) 가 중요해지고 결국 이러한 기술은 꼭 이론적인게 필요한게 아니죠. 거기다 이분야는 이제 생겨나서 누구나 1년차라는 것... 인공지능 스타트업을 시작한다면 바로 지금이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드는 요즘입니다. ㅎㅎ

7.2 p
댓글 1
리액션유저 9

근데 이런 흐름, 사실 올해초 부터 종종 나오던 이야기... 이긴 합니다. 올초 이런 이야기 나올때 저는 그냥 그런가?? 했는데 갑자기 뒷북..

2 p
Snippod Logo©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