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터레스트가 11백만 유저가 사용할 정도로 성장하는 동안 6명의 엔지니어였다고 하는데요. 초기에는 어떤 인프라 아키텍쳐였고 유저가 늘어나면서 어떻게 개선했는지 매우 자세히 공개된 글이 있네요~ 핀터레스트 초기 개발자가 공개한 자료를 바탕으로 쓰여진 글이라고..
핀터레스트 2011.01 시점 1만 MAU 정도였고 stack은 스닙팟 현재 서버 구조와 거의 비슷한하네요...(차이점이라면 스닙팟은 추가로 redis cache 도 미리 적용하였다는 것 + load balancer 처리 해두었다는 것..) 트래픽도 비슷한 상황..
핀터레스트는 2010.03에 런칭했는데요. 2011.01 까지 10개월 정도는 1만명 정도의 MAU 였다고 합니다... 성장이 1년 정도는 크게 되지 않았던 셈. 그러나 2011.01 이후 매달 유저가 2배씩 급속도로 성장.. (2011.03 아이폰 출시가 큰 영향을 주었다고..) 이후 1년도 안된 2011.10 시점에 3백만 MAU 가 되었어요. (* 마치 스닙팟에 조만간 닥쳐올 미래가 아닐까... 행복한 상상을 해보게 되네요.. ^^;)
갑자기 이정도로 트래픽이 늘어나는 과정에서 엔지니어 3명으로 커버 했다는 점이 매우 놀라운데요.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지 백엔드 개발자로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특히 DB 클러스터링 도입 과정에서 문제점이 실제 환경에서 많이 발생했다는 것.. 향후 스닙팟도 DB 샤딩을 적용해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핀터레스트는 샤딩을 어떻게 적용했는지도 나와있군요. 수동으로 몇달에 걸쳐서 점진적으로 적용했다고.. 생각보다 할일이 많은듯... ㅎㅎ
혹시 이런 내용 관심있으신 개발자 분 계신가요..? 스닙팟으로 모십니다. ^^;
핀터레스트가 11백만 유저가 사용할 정도로 성장하는 동안 6명의 엔지니어였다고 하는데요. 초기에는 어떤 인프라 아키텍쳐였고 유저가 늘어나면서 어떻게 개선했는지 매우 자세히 공개된 글이 있네요~ 핀터레스트 초기 개발자가 공개한 자료를 바탕으로 쓰여진 글이라고.. 핀터레스트 2011.01 시점 1만 MAU 정도였고 stack은 스닙팟 현재 서버 구조와 거의 비슷한하네요...(차이점이라면 스닙팟은 추가로 redis cache 도 미리 적용하였다는 것 + load balancer 처리 해두었다는 것..) 트래픽도 비슷한 상황.. 핀터레스트는 2010.03에 런칭했는데요. 2011.01 까지 10개월 정도는 1만명 정도의 MAU 였다고 합니다... 성장이 1년 정도는 크게 되지 않았던 셈. 그러나 2011.01 이후 매달 유저가 2배씩 급속도로 성장.. (2011.03 아이폰 출시가 큰 영향을 주었다고..) 이후 1년도 안된 2011.10 시점에 3백만 MAU 가 되었어요. (* 마치 스닙팟에 조만간 닥쳐올 미래가 아닐까... 행복한 상상을 해보게 되네요.. ^^;) 갑자기 이정도로 트래픽이 늘어나는 과정에서 엔지니어 3명으로 커버 했다는 점이 매우 놀라운데요.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지 백엔드 개발자로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특히 DB 클러스터링 도입 과정에서 문제점이 실제 환경에서 많이 발생했다는 것.. 향후 스닙팟도 DB 샤딩을 적용해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핀터레스트는 샤딩을 어떻게 적용했는지도 나와있군요. 수동으로 몇달에 걸쳐서 점진적으로 적용했다고.. 생각보다 할일이 많은듯... ㅎㅎ 혹시 이런 내용 관심있으신 개발자 분 계신가요..? 스닙팟으로 모십니다. ^^;
How Pinterest scaled to 11 million users with only 6 engineers
Pinterest's tech stack explained sim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