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트로픽 에서 발표한 MCP (Model Context Protocol) 한번 살펴보고 싶었는데, 직접 사용하는 과정이 잘 설명된 영상이 있어 공유합니다!
이를 이용하면 Claude Desktop App 에서 내 로컬 디렉토리 (물론 내가 지정한 path 만 권한 부여) 안에 파일을 읽고 쓸 수 있게 할 수도 있구요. 그외에도 DB, Git, GoogleDrive, Slack, Browser 등을 핸들링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데이터를 LLM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버들이 오픈소스로 제공되었습니다. (직접 구현할 수도 있구요)
그러니까.. OpenAI 가 플러그인 혹은 Action 등으로 오픈AI측에서 최종적으로 허브 역할을 하는 방식으로 가능했던 연동 방식이 아닌 그냥 자유롭게 누구나 개발 하고 연동 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을 잘 정의한 것이구요. 이런 방식은 반드시 앤트로픽에 의존되는 것이 아닌 별도의 MIT 라이센스의 오픈소스로 어디서든 쓸 수 있어요. 분명 오픈AI 보다 더 오픈된 방식 이네요 🤗
MCP official docs: https://modelcontextprotocol.io/introduction
server git: https://github.com/modelcontextprotocol/servers
앤트로픽 에서 발표한 MCP (Model Context Protocol) 한번 살펴보고 싶었는데, 직접 사용하는 과정이 잘 설명된 영상이 있어 공유합니다! 이를 이용하면 Claude Desktop App 에서 내 로컬 디렉토리 (물론 내가 지정한 path 만 권한 부여) 안에 파일을 읽고 쓸 수 있게 할 수도 있구요. 그외에도 DB, Git, GoogleDrive, Slack, Browser 등을 핸들링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데이터를 LLM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버들이 오픈소스로 제공되었습니다. (직접 구현할 수도 있구요) 그러니까.. OpenAI 가 플러그인 혹은 Action 등으로 오픈AI측에서 최종적으로 허브 역할을 하는 방식으로 가능했던 연동 방식이 아닌 그냥 자유롭게 누구나 개발 하고 연동 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을 잘 정의한 것이구요. 이런 방식은 반드시 앤트로픽에 의존되는 것이 아닌 별도의 MIT 라이센스의 오픈소스로 어디서든 쓸 수 있어요. 분명 오픈AI 보다 더 오픈된 방식 이네요 🤗 MCP official docs: https://modelcontextprotocol.io/introduction server git: https://github.com/modelcontextprotocol/servers
클로드 MCP : 모든 앱과 소통하는 AI 혁신! 설치부터 활용까지 완벽 가이드
앤트로픽이 공개한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 이 기술로 클로드 데스크탑이 다양한 앱과 통신하며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MCP의 개념부터 설치, 활용법까지 상세히 안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