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팩트" 라는 뉴스앱 (인스타그램 창업자들이 만든 것으로 유명한 개인화 추천 뉴스 앱) 에서 'Reputation Score' 평판 점수 기능을 도입했어요.
개인적으로 너무 좋아하는데다가 스닙팟 역시 이러한 레밸 시스템의 도입을 늘 생각해오는 편이라 아티팩트에서 어떻게 이 기능이 발전해 나갈지 매우 관심이 많습니다.
아티팩트에서 이 평판점수는 오로지 기사에 쓸수 있는 댓글에 대해서 다른 유저가 얼마나 업보트/다운보트를 했는지가 중요하게 다뤄지는 것 같습니다. (추가로 AI가 판단해서 댓글 내용이 너무 공공성을 해치면 임의로 삭제 + 활동 제약도 걸 고 있구요)
그리고 이러한 평판점수가 높으면 그 유저의 댓글은 상위에 노출되고, 평판점수가 낮은 댓글은 하위에 노출 되도록 하고 있습니다.
아티팩트 창업자 인터뷰를 보면 뉴스 댓글 공간이 쓰레기통이 되는건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닌걸 알수 있구요.. 매우 많은 안정장치를 고려하고 있는 것 같아요.
일단 아티팩트 앱 내에서 이 기사에 대한 유저들의 댓글을 보면 부정적인 반응이 많네요.. 이러한 유사 시스템을 가진 레딧의 카르마 시스템을 연상시키는데 레딧 카르마 역시 싫어하는 유저들이 많은 것 같구요 ^^;
평가받는 느낌도 부담스럽고 누군가에게 권력이 주어지는 방법으로 작동할 수 도 있으니까요. 나름 부담감을 완화시키기 위해 아티팩트 평판 점수는 현재 오로지 본인 점수를 본인만 볼 수 있고 다른 유저는 볼 수 없도록 되어 있습니다.
* 저도 제 점수를 봤는데.. 이게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전혀 감이 안오더라구요... 내 점수만 알 수 있으니...;
"아티팩트" 라는 뉴스앱 (인스타그램 창업자들이 만든 것으로 유명한 개인화 추천 뉴스 앱) 에서 'Reputation Score' 평판 점수 기능을 도입했어요. 개인적으로 너무 좋아하는데다가 스닙팟 역시 이러한 레밸 시스템의 도입을 늘 생각해오는 편이라 아티팩트에서 어떻게 이 기능이 발전해 나갈지 매우 관심이 많습니다. 아티팩트에서 이 평판점수는 오로지 기사에 쓸수 있는 댓글에 대해서 다른 유저가 얼마나 업보트/다운보트를 했는지가 중요하게 다뤄지는 것 같습니다. (추가로 AI가 판단해서 댓글 내용이 너무 공공성을 해치면 임의로 삭제 + 활동 제약도 걸 고 있구요) 그리고 이러한 평판점수가 높으면 그 유저의 댓글은 상위에 노출되고, 평판점수가 낮은 댓글은 하위에 노출 되도록 하고 있습니다. 아티팩트 창업자 인터뷰를 보면 뉴스 댓글 공간이 쓰레기통이 되는건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닌걸 알수 있구요.. 매우 많은 안정장치를 고려하고 있는 것 같아요. 일단 아티팩트 앱 내에서 이 기사에 대한 유저들의 댓글을 보면 부정적인 반응이 많네요.. 이러한 유사 시스템을 가진 레딧의 카르마 시스템을 연상시키는데 레딧 카르마 역시 싫어하는 유저들이 많은 것 같구요 ^^; 평가받는 느낌도 부담스럽고 누군가에게 권력이 주어지는 방법으로 작동할 수 도 있으니까요. 나름 부담감을 완화시키기 위해 아티팩트 평판 점수는 현재 오로지 본인 점수를 본인만 볼 수 있고 다른 유저는 볼 수 없도록 되어 있습니다. * 저도 제 점수를 봤는데.. 이게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전혀 감이 안오더라구요... 내 점수만 알 수 있으니...;
Instagram Founders' App Artifact Adds 'Reputation Scores,' Comments
Kevin Systrom and Mike Krieger's article app is taking a page from Reddit's playbook with upvotes, downvotes, and graded credibility—as w…
스닙팟도 Reputation Score + User Level 시스템. 도입할 날이 왔으면... 합니다. 개발도 개발이지만 이러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고 누구나 만족할 수 있도록 만드는건 엄청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