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제안하는 에이전트 간에 협업할 수 있는 표준 프로토콜 A2A git Repository 입니다.
저도 때마침 요즘 이런걸 상상하면서 필요하다고 생각해왔는데..
구글이 이런 분야에서는 역시 발 빠르네요? (앤트로픽보다 살짝 늦었지만, 앤트로픽은 말그대로 실용성을 고려했다면 구글은 거대한 AI의 미래를 고려하다보니 늦은듯...)
A2A 는 당장은 MCP 와 비슷하게 구현되어 있지만 가장 큰 차이라면 역시 서버도 AI Agent 라는 점. 일것 같아요 (물론 MCP 도 그렇게 될 수 있지만)
그래서 비슷한듯 전혀 다른 레이어를 가진 프로토콜입니다. MCP 는 어찌보면 API request, response 스펙을 표준화해서 LLM 이 API 서버를 자유롭게 이용하는데 초점을 두었다면, A2A 는 인공지능 간의 협업에 초점을 맞췄으니까 A2A 가 어찌보면 우리가 공상과학에서 생각하는 그런 미래를 고려한 프로토콜이라고 볼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근데 인공지능 간에 최적화된 프로토콜이라고 보기엔 조금 human readable 한 요소를 많이 고려한듯.. 해서 진짜 인공지능 간 소통 효율 극대화가 필요해질 때 즈음이면 다른 프로토콜이 또 나올 수 도 있지 않을까요? 흠..
아무튼 당분간 에이전트 간 협업이 떠오르는 이 시기에 사실상 이 시장의 표준으로 자리매김할지 매우 흥미롭게 지켜볼 만.
구글이 제안하는 에이전트 간에 협업할 수 있는 표준 프로토콜 A2A git Repository 입니다. 저도 때마침 요즘 이런걸 상상하면서 필요하다고 생각해왔는데.. 구글이 이런 분야에서는 역시 발 빠르네요? (앤트로픽보다 살짝 늦었지만, 앤트로픽은 말그대로 실용성을 고려했다면 구글은 거대한 AI의 미래를 고려하다보니 늦은듯...) A2A 는 당장은 MCP 와 비슷하게 구현되어 있지만 가장 큰 차이라면 역시 서버도 AI Agent 라는 점. 일것 같아요 (물론 MCP 도 그렇게 될 수 있지만) 그래서 비슷한듯 전혀 다른 레이어를 가진 프로토콜입니다. MCP 는 어찌보면 API request, response 스펙을 표준화해서 LLM 이 API 서버를 자유롭게 이용하는데 초점을 두었다면, A2A 는 인공지능 간의 협업에 초점을 맞췄으니까 A2A 가 어찌보면 우리가 공상과학에서 생각하는 그런 미래를 고려한 프로토콜이라고 볼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근데 인공지능 간에 최적화된 프로토콜이라고 보기엔 조금 human readable 한 요소를 많이 고려한듯.. 해서 진짜 인공지능 간 소통 효율 극대화가 필요해질 때 즈음이면 다른 프로토콜이 또 나올 수 도 있지 않을까요? 흠.. 아무튼 당분간 에이전트 간 협업이 떠오르는 이 시기에 사실상 이 시장의 표준으로 자리매김할지 매우 흥미롭게 지켜볼 만.
GitHub - google/A2A: An open protocol enabling communication and interoperability between opaque agentic applications.
An open protocol enabling communication and interoperability between opaque agentic applications. - google/A2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