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등 AI 등장 이후의 변화. 위키피디아, 네이버 지식인, 스택오버플로우 트래픽 급락...
!["AI에 묻는게 더 편해"…몰락하는 위키피디아·네이버지식인[팩플] | 중앙일보](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5/30/3b00fcf1-290a-4bc1-a7ec-bb2d22f1e23d.jpg)
"AI에 묻는게 더 편해"…몰락하는 위키피디아·네이버지식인[팩플] | 중앙일보
위키피디아, 지식인 등 인터넷 시대 집단 지성을 활용한 정보 공유 창구로 각광받았던 온라인 지식 공유 플랫폼의 입지가 급격히 쪼그라들고 있다. 미국 교육 정보 공유 플랫폼인 체그(Chegg)는 2022년 이후 방문자 수가 51% 줄었다.(트래픽…
WOW. 깃허브를 위키로 보고 싶다면? repository 를 LLM 으로 이해해서 설명해줍니다. README.md 만 보여주는게 아니라 코드 아키텍처를 이해하는 것. devin 을 만든 곳에서 제공하구요. 아마 AI 코드 생성을 위해 repository 를 LLM 이 인식할때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로직을 공개했다고 보이네요. 훌터보면서 AI가 어떻게 코드베이스를 분석하는지 이해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사용법? github.com > deepwiki.com 으로 주소만 바꾸면 됩니다. 너무 쉽다.. ㅎㅎ 유명한 repository는 바로 보이구요. 아직 생성이 안된 페이지는 10분 정도 기다리면 됩니다. (email noti 지원)
DeepWiki
DeepWiki provides up-to-date documentation you can talk to, for every repo in the world. Think Deep Research for GitHub - powered by Devin.
쥐식백과 나무위키 에서 특정 사안 편집 과정 사례 영상. 이슈가 된 "뉴 단간론파 V3 한국어판 심의 거부 논란" 나무위키 페이지 https://namu.wiki/w/%EB%89%B4%20%EB%8B%A8%EA%B0%84%EB%A1%A0%ED%8C%8C%20V3%20%ED%95%9C%EA%B5%AD%EC%96%B4%ED%8C%90%20%EC%8B%AC%EC%9D%98%20%EA%B1%B0%EB%B6%80%20%EB%85%BC%EB%9E%80 "공개된 회의록-동춘동 사건의 연관성에 관한 서술의 원천봉쇄는 부당합니다." 토론 과정: https://namu.wiki/thread/SquareEnthusiasticPluckyLoaf 나무위키를 자주 들어가보면서도 이슈가 있는 사안에 대해서 어떻게 토론이 이뤄지는지 알아볼 수 있던 사례라 흥미롭게 보았습니다. 이정도로 심각하게 토의가 되는군요?! 와... 이래서 나무위키가 좋아요...
너무나 익숙하지만 은근 관련된 콘텐츠가 적은 "나무위키"! 나무위키를 다룬 소중한 영상이 있어서 냉큼 퍼왔습니다!
위키피디아 문서들을 참조해서 어떤 문서에서든 특정 텍스트 구간을 드래그 하면, wikipedia 에 참고가 되는 문서를 알려주는 크롬 익스텐션 입니다. 공식 위키피디아 를 운영하는 비영리 단체 wikimedia 에서 만들었구요. ChatGPT API 를 활용해서 RAG 를 구현해서 제공하는 실험적인 기능이라고 하네요. 굉장히 흥미로워서 냉큼 설치.. (*Arc Browser 지원 불가. 크롬에서만 가능) 막상 써보니 일단 드래그 한 Text 만을 이용해서 wikipeda 와 매칭되는 문서를 찾는데 이것이 은근 활용성을 많이 떨어뜨립니다. (딱 특정 문장 안에서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등이 섞여 있으면 제대로 안되고, 그렇다고 너무 넓은 범위로 텍스트를 검색하면 의도한 근거를 찾아주는 효과가 사라짐) 여러모로.. 써보니 실용성은 당장 별로 없다고 보입니다. (차라리 google search api 로 site:wikipedia.org 로 구현하면 더 성능이 좋을지도 모르겠음..)
Wikipedia Citation Needed
A chrome extension for finding citations in Wikipedia by using ChatGPT
위키피디아 창업가를 통해 알아보는 초기 이야기. 스닙팟도 위키 유사한 성격과 취지를 가지고 만든 서비스라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전 세계 10억명이 쓰는 위키피디아는 왜 광고를 붙이지 않을까?
데이제로인사이트위대한 창업가들은 어떻게 처음 비즈니스를 시작했을까요? 방송에 출연한 ...
위키피디아는 미디어 기업 레드벤처스 산하의 테크 미디어 CNET을 AI 생성 기사를 게제하고 있다는 것 (인간인 최종 검토하는 프로세스가 있지만 오류가 드러남) 을 이유로 신뢰할 수 없는 소스로 강등했다고 합니다. 위키피디아 측에 레드벤처스가 억울함을 호소했지만 소용없었는듯.. 위키피디아는 워낙 신뢰를 중요하게 생각해서 일부였어도 그렇게 하는게 중요했다는 것 같네요. Wikipedia 에서 참조가 되고 있는가 아닌가는 SEO 등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미디어그룹으로서 타격이 엄청날듯...

위키피디아 “생성형 AI 기사 작성 씨넷, 신뢰할 출처 아니다” - 테크레시피
씨넷(CNET)이 2022년 AI가 생성한 기사를 공개한 것에 따라 위키피디아 편집자 논의가 이뤄져 씨넷 출처로 신뢰성 평가가 떨어졌다고 보도되고 있다. 2022년 11월부터 씨넷이 씨넷 머니 스태프(CNET Money Staff)라는 명칭으로…
Supports "Semantic MediaWiki" extension
미디어위키 컴맹도 가능한 나만의 위키 만들기
들어가기 전에…위키 만들기미디어위키 설치✿이 글은 「미디어위키」를 구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
우와.. 전, 위키피디아가 봇들이 편집하는 줄도 몰랐는걸요;

로봇 전쟁터 된 위키피디아
자동 편집 프로그램 '봇'수년에 걸쳐 고친 내용 또 고쳐"향후 AI 간 문제 보여줘"[ 박근태 기자 ] 세계 최대 온라인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로고)가 로봇들의 전쟁터가 되고 있다.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에서 발행하는…